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94건)

서창한옥문화관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서창한옥문화관은 도시화와 산업화로 사라져가는 우리의 농촌 풍습을 옛 그대로 보존해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볼거리와 체험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전통문화 체험공간이다. 주로 전통문화 또는 농촌생활 체험을 할 수 있는 학습장으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주5일제 수업 전면시행에 맞춰
눌재로
눌재로는 남구 압촌동에서 서구 서창동과 벽진동에 걸쳐 있는 도로다. 눌재로는 남구 압촌동 지석제 부근의 회재로와 맞닿는 부근에서 시작하여, 벽진동의 벽진고가교까지 6,224m의 도로로, ‘우부리 격살 사건’, ‘신비복위소’ 등으로 의로움을 몸소 실천한 눌재 박상(1474~1530)을 기린 도로다. 눌재로를 통해 서구에서 선정
송학산
서구 용두동 산 전체의 모습이 둥글둥글 해 무등산을 연상시키는 송학산은 높이 212.3m의 야트막한 산이지만 산 곳곳에 큰 바위가 박혀있다. 서창동 학동마을과 절골마을 뒤에 자리한 송학산은 남구 압촌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산자락에는 고인돌이 있다. 이는 오랜 역사의 증거다. 산 중턱에는 잡목림 숲이 우거져 가
백마산
서구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백마산은 서구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에 위치해 있는 산이다. 금당산에서 남서쪽으로 화방산을 거쳐 송학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절골[寺洞] 동편을 타고 북쪽으로 향하면서 솟아있다. 서쪽으로 극락강이 흐르고, 광주공항과 송정리 일대가 조망된다. 개금산을 마주보고 있으며 해발고도는 162.1m
충주박씨찬성공휘지흥 제각복원사적비
서구 사동길 118(서창동)충주박씨찬성공휘지흥제각복원사적비忠州朴氏贊成公諱智興祭閣復元史蹟碑는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 안쪽의 추원재 바로 앞에 있다. 1989년에 세웠다. 눌재 박상의 봉산재를 지나 50여미터만 더 가면 있다. 회암懷庵 박지흥朴智興(1411~1488)의 재실은 오랜 세월이 흘러 훼손되어 다시 개축하려 했으나
문간박선생눌재신도비명
광주시 서구 사동길 60 박상신도비에는 ‘문간박선생눌재신도비명文簡朴先生訥齋神道碑銘’이라 적혀 있다. 주州의 서쪽 30리 의 사동寺洞에 있는 비석으로 김병주金炳㴤)의 전서篆書 및 금곡錦谷 송래희宋來熙이 찬문撰文이 있다.박상신도비는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겸 성균관成均館 제주 祭酒를 지낸 경연관經筵官 송래
박정 제각건립비
서구 사동길 118(서창동)충주박씨하촌공제각건립비忠州朴氏荷村公祭閣建立碑는 1989년 하촌공 문중에서 건립했다. 눌재 박상의 큰형인 하촌荷村 박정朴禎(1467~1498)은 중국 송나라 삼소三蘇에 견주어 동국에 형제삼박兄弟三朴이 있다고 할 때 중심이 된 인물이다. 32세로 요절하였으나 수백년이 지나도록 재실이 없어 안타
박상 시비- 깊은 산에 묻혀(山居詩)
남구 사직길 49(사직공원)눌재 박상의 시비는 1994년 광주시에서 사직공원에 건립했다. 호남 시단의 시조로 숭배되는 눌재 박상의 시비에 조각된 시는 신숙주의 증손자인 조선시대 청백리였던 영천자靈川子 신잠申潛(1491~1554)의 시에 화답한 칠언절구 백수 중에서 하나이다. 신잠이 기묘사화로 파직되고, 1521년 신사무옥
박상-눌재 박상 묘비
광주시 서구 사동길 101눌재訥齋 묘비에는 有明朝鮮 贈吏曹判書 謚文簡公 訥齋 朴先生之墓 贈貞夫人 晉陽柳氏祔左라고 기록되어 있다. 묘비는 조카인 사암 박순이 중국에서 가져온 백비에 가까운 돌로 알려져 있다. 눌재 박상의 묘소는 내외분을 나란히 안치한 쌍분雙墳이다. 후손에 따르면 박상은 꽃에 대한 시문을 다수
추원재 (박지흥)
서구 사동길 118(서창동)추원재追遠齋는 절골마을에 들어온 충주박씨의 입향조 회암懷庵 박지흥朴智興(1411~1488)의 재실이다. 박지흥은 정지 장군의 손녀인 하동 정씨와 결혼 후 이곳으로 낙향했으나 2년 후 상을 당하여 개성 서씨와 재혼했다. 개성 서씨의 사이에서 세 아들이 있다. 하촌荷村 박정朴禎(1467~1498), 눌재訥
추모재 (박정)
서구 사동길 118(서창동)서구 송학산 북쪽 기슭의 사동마을은 오래 전부터 절골마을로 불리었다. 회암 박지흥(1411~1488)과 자녀들이 살았던 초당 터다. 눌재 박상과 영의정을 한 사암 박순의 탯자리이다.조선시대 말까지 방하동芳荷洞에 있는 추모재追慕齋는 당시에 눌재 박상의 큰형인 하촌荷村 박정朴禎(1467~1498)
봉산재(눌재 박상)
서구 사동길 93(서창동) 봉산재鳳山齋는 충주 박씨忠州朴氏의 재실로서 소촌동의 송호영당松湖影堂과 더불어 눌재訥齋 박상朴祥(1473-1530)의 재실이다. 2019년11월 1일 새로운 재실을 중건하고 기념식을 가졌다. 재실 앞에는 박상 선생의 행장비도 새로 세웠다.재실 안에는 박상 선생 영정과 광산 김충호金忠浩가 쓴 '봉산
눌재집 목판각/유형문화재 제16호(1990.11.15.)
북구 용봉동 1004-4 광주시립민속박물관 보관 중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 선생의 시문집의 목판각이다. 원래는 박상의 출생지인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의 송호영당에 영정과 함께 보관되어 있었으나 송호영당을 1728년에 광산구 소촌동으로 이전 건립하면서 옮겼다가 현재는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눌재집訥齋集』은
서창루 세동각 세하당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1998년 조성된 기존의 서창향토문화마을이 2017년에 정비사업을 통해 서창한옥문화관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내부의 한옥 건물에 대하여 정인서 서구문화원장의 제안으로 지역의 명칭을 따라 건물 이름과 방 이름을 정하여 생명을 갖도록 했다.서창루西倉樓는 서창지역이 옛 세곡창고였다는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